본문 바로가기

경제야 놀자~

NHN 페이코, SB톡톡+ 앱 전자증명서 발급, 제출 방법!

 

NHN페이코 및 저축은행을 이용하는 분들은 꼭 알고 있으면 유익한 내용을 행정안전부에서 보도했습니다.
앞으로 NHN페이코 및 저축은행을 이용하는 분들이 예금 계좌를 개설하거나 대출 등을 받을 때 필요한 구비서류를 민원창구를 방문하지 않고 전자증명서로 발급받아 제출할 수 있게 됩니다
.

 

 

국내 핀테크 플랫폼 가운데 최초로 페이코 앱에서 주민등록표등·초본 등 국민이 일상생활에 자주 사용하는 민원서류(16)를 전자증명서로 발급받아 한 번에 수취 기관에 제출까지 할 수 있게 됩니다.

이와 함께, 저축은행중앙회는 ‘SB톡톡+ 을 통해 OK저축은행 등 67개 저축은행을 이용하는 고객이 예금개설, 대출 신청 등에 필요한 서류(30)를 모바일 전자증명서로 제출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.

 

앞으로는 NHN페이코, SB톡톡+ 앱을 통해서 저축은행에서 예금 계좌를 개설하거나 대출 등을 받을 때 한 번에 손쉽게 필요 서류를 제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
NHN페이코, SB톡톡+ 앱을 통한 전자증명서 발급및 제출 방법은 본글 하단에 소개하겠습니다.

 

"NHN페이코, SB톡톡+ 앱 전자증명서 발급, 제출 방법!"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행정안전부에서 보도한 아래의 내용(NHN페이코, 저축은행67개 에서도 전자증명서 이용 가능해진다.)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 

<알아두면 유익한 정보들~~~~^^>

☞ 홈택스 내비게이션 사용방법 / 종합소득세 등 세금 신고-납부 편리해진다!

☞ 양도소득세 확정신고 종합안내 포털 바로가기 및 서비스 개선 내용!

☞ 2분기 코로나 예방접종 사전예약 신청 바로가기!(60~74세 접종 일정)

☞ 5G 알뜰폰 더 싸진다! "알뜰폰 사업자별 5G 요금제 출시"

 

 

 

NHN페이코, 저축은행 67개 에서도 전자증명서 이용 가능해진다

- 5월 17일부터 페이코 앱에서 전자증명서 신청발급 서비스 개시 -

- SB톡톡+ 앱에서 67개 저축은행 구비서류, 전자증명서로 제출 가능 -

 

 

앞으로 NHN페이코 및 저축은행을 이용하는 국민이 예금 계좌를 개설하거나 대출 등을 받을 때 필요한 구비서류를 민원창구를 방문하지 않고 전자증명서로 발급받아 제출할 수 있게 된다.

 

 

 

행정안전부(장관 전해철)NHN페이코(대표 정연훈저축은행중앙회(대표 박재식)와 협업을 통해 전자증명서 연계 오픈API1) 로 개발을 완료하고 NHN페이코는 517(), 저축은행은 524() 부터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

 

 

특히, 국내 핀테크 플랫폼 가운데 최초로 페이코 앱에서 주민등록표등·초본 등 국민이 일상생활에 자주 사용하는 민원서류(16)*를 전자증명서로 발급받아 한 번에 수취 기관에 제출까지 할 수 있게 된다.

*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, 지방세납세증명, 병적증명서, 지방세 세목별과세증명 등 16

 

이를 위해, 지난해부터 행안부는 NHN페이코와 함께 전자증명서 이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, 202010월에 페이코 앱에 전자문서지갑을 설치한 바 있다.

 

 

 

이와 함께, 저축은행중앙회는 ‘SB톡톡+ 을 통해 OK저축은행 등 67개 저축은행을 이용하는 고객이 예금개설, 대출 신청 등에 필요한 서류(30)를 모바일 전자증명서*로 제출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.

* 주민등록표등초본, 건강보험료납부확인서, 납세증명서, 국민연금가입증명, 장애인증명서 등 30

 

앞으로, 저축은행중앙회는 ‘SB톡톡+ 과 연계한 67개 저축은행의 온라인 금융서비스 화면에서 직접 전자증명서를 발급제출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할 계획이다.

 

또한, 67개 이외에 시스템을 별도로 운영하는 12개 저축은행과도 전자증명서 연계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.

 

 

< 전자증명서 발급신청 및 제출 방법(예시) >

출처 : 행정안전부 홈페이지

 

 

한편, 행정안전부는 현재 100종의 전자증명서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, 올해 말까지 가족관계증명서 등 200종을 추가해 총 300종까지 확대하기 위한 전자증명서 발급유통 3차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.

 

3차 구축사업이 완료되면 국민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민원서류를 대부분 전자증명서로 발급할 수 있게 되어 국민의 편의가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.

 

 

 

한창섭 행안부 정부혁신조직실장은 페이코 앱에서도 전자증명서 발급이 가능하고, 저축은행중앙회 SB톡톡+ 앱을 통해 67개 저축은행까지 전자증명서 제출기관이 대폭 늘어났다.”앞으로도 은행보험사 뿐만 아니라 대학국공립병원 등과도 계속 협력해 전자증명서 이용기관을 확대해 나가겠다.”고 말했다.

 

 

 

전자증명서 안내 및 이용 방법

출처 : 행정안전부 홈페이지

 

 

 

저축은행중앙회, 67개 저축은행 전자증명서 활용기관

출처 : 행정안전부 홈페이지

 

 

전자증명서 제출이 가능한 기관 현황(18개)

출처 : 행정안전부 홈페이지

 

 

본 저작물은 ‘행정안전부’에서 ‘21년’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‘NHN페이코, 저축은행 67개 에서도 전자증명서 이용 가능해진다(작성자:민원제도혁신과)’을 이용하였으며, 해당 저작물은 ‘행정안전부 홈페이지(www.mois.go.kr/frt/a01/frtMain.do)’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.

 

 

** 항상 유익하고 행복한 이야기를 나누기 위해 노력합니다.^^*
** 함께 하는 행복을 누려요~~ 구독과 공감 댓글 클릭~~ 서로 소통해요^^v
** 오늘도 행복하시고, 모두 힘내세요~~ 감사합니다.

 

728x90